info image
닫기
info image
닫기

스킵 네비게이션


보유기술현황

보유기술현황

전체 : 825

  • 액정화면의 광 반사율을 측정하는 장치
    원문  초록

    액정화면의 광 반사율을 측정하는 장치

    컴퓨터용 LCD모니터 또는 각종 LCD 액정화면의 표면이 갖는 반사율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액정화면의 광 반사율을 측정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외부로부터 빛이 차단된 암실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제1선반과 제2선반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선반에 회전 및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반사율을 측정하는 대상인 액정화면이 놓여지는 측정지지대; 상기 측정지지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정지지대에 놓여지는 액정화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계측기; 상기 하우징의 제1선반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제2선반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계측기가 엑스축방향과 와이축방향으로 왕복이동을 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측정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측정지지대에 놓여지는 액정화면의 표면에 빛을 주사하는 조명장치; 그리고 상기 측정지지대구동부, 슬라이딩부, 카메라 및 조명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계측기로부터 인가되는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액정화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반사율을 산출하는 메인컨트롤러를 제공한다. 액정화면, 계측기, 측정지지대, 메인컨트롤러

    • 출원번호1020050064308
    • 출원일자20050715
    • 등록번호1006063840000
    • 등록일자20060721
    • 출원인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발명자차국찬
    초록

    컴퓨터용 LCD모니터 또는 각종 LCD 액정화면의 표면이 갖는 반사율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액정화면의 광 반사율을 측정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외부로부터 빛이 차단된 암실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제1선반과 제2선반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선반에 회전 및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반사율을 측정하는 대상인 액정화면이 놓여지는 측정지지대; 상기 측정지지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정지지대에 놓여지는 액정화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계측기; 상기 하우징의 제1선반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제2선반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계측기가 엑스축방향과 와이축방향으로 왕복이동을 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측정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측정지지대에 놓여지는 액정화면의 표면에 빛을 주사하는 조명장치; 그리고 상기 측정지지대구동부, 슬라이딩부, 카메라 및 조명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계측기로부터 인가되는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액정화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반사율을 산출하는 메인컨트롤러를 제공한다. 액정화면, 계측기, 측정지지대, 메인컨트롤러

  • 디지털 미세거울표시소자 패키지
    원문  초록

    디지털 미세거울표시소자 패키지

    본 고안은 디지털 미세거울표시소자 패키지(Digital Micromirror Device Package)에 관한 것으로, 기판(Substrate)을 금속재로 구성하여 기판에 대한 윈도우프레임의 접합이 금속과 금속간의 직접 용접방식(Welding)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패키지조립공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제조원가를 크게 낮출 수 있도록 하며, 히트싱크(Heat Sink) 없이도 외부로의 빠른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하여 열화(劣化)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수명의 연장과 고휘도의 특성을 꾸준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소정 깊이의 미세거울표시소자 장착홈이 형성된 소정 크기의 기판과; 상기 기판상의 미세거울표시소자 장착홈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형성되는 금속재의 돌출턱과; 상기 기판상의 미세거울표시소자 장착홈 중심부에 장착되는 미세거울표시소자 칩과; 상기 미세거울표시소자의 장착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기판의 둘레를 따라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미세거울표시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핀과; 상기 미세거울표시소자 장착홈의 수직 상방으로부터 덮여진 상태에서 금속재의 윈도우프레임의 가장자리 저면이 돌출턱의 상면에 웰딩접합되는 광학 윈도우를 포함한다. DMD, 기판, 돌출턱, 광학윈도우, 윈도우...(이하생략)

    • 출원번호2020050020052
    • 출원일자20050711
    • 등록번호2003979010000
    • 등록일자20050930
    • 출원인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발명자황인성, 정기창
    초록

    본 고안은 디지털 미세거울표시소자 패키지(Digital Micromirror Device Package)에 관한 것으로, 기판(Substrate)을 금속재로 구성하여 기판에 대한 윈도우프레임의 접합이 금속과 금속간의 직접 용접방식(Welding)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패키지조립공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제조원가를 크게 낮출 수 있도록 하며, 히트싱크(Heat Sink) 없이도 외부로의 빠른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하여 열화(劣化)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수명의 연장과 고휘도의 특성을 꾸준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소정 깊이의 미세거울표시소자 장착홈이 형성된 소정 크기의 기판과; 상기 기판상의 미세거울표시소자 장착홈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형성되는 금속재의 돌출턱과; 상기 기판상의 미세거울표시소자 장착홈 중심부에 장착되는 미세거울표시소자 칩과; 상기 미세거울표시소자의 장착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기판의 둘레를 따라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미세거울표시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핀과; 상기 미세거울표시소자 장착홈의 수직 상방으로부터 덮여진 상태에서 금속재의 윈도우프레임의 가장자리 저면이 돌출턱의 상면에 웰딩접합되는 광학 윈도우를 포함한다. DMD, 기판, 돌출턱, 광학윈도우, 윈도우...(이하생략)

  • 디지털 미세거울표시소자 패키지
    원문  초록

    디지털 미세거울표시소자 패키지

    본 발명은 디지털 미세거울표시소자 패키지(Digital Micromirror Device Package)에 관한 것으로, 기판(Substrate)을 금속재로 구성하여 기판에 대한 윈도우프레임의 접합이 금속과 금속간의 직접 용접방식(Welding)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패키지조립공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제조원가를 크게 낮출 수 있도록 하며, 히트싱크(Heat Sink) 없이도 외부로의 빠른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하여 열화(劣化)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수명의 연장과 고휘도의 특성을 꾸준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소정 깊이의 미세거울표시소자 장착홈이 형성된 소정 크기의 기판과; 상기 기판상의 미세거울표시소자 장착홈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형성되는 금속재의 돌출턱과; 상기 기판상의 미세거울표시소자 장착홈 중심부에 장착되는 미세거울표시소자 칩과; 상기 미세거울표시소자의 장착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기판의 둘레를 따라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미세거울표시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핀과; 상기 미세거울표시소자 장착홈의 수직 상방으로부터 덮여진 상태에서 금속재의 윈도우프레임의 가장자리 저면이 돌출턱의 상면에 웰딩접합되는 광학 윈도우를 포함한다. DMD, 기판, 돌출턱, 광학윈도우, 윈도우...(이하생략)

    • 출원번호1020050062020
    • 출원일자20050711
    • 등록번호
    • 등록일자
    • 출원인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발명자황인성, 정기창
    초록

    본 발명은 디지털 미세거울표시소자 패키지(Digital Micromirror Device Package)에 관한 것으로, 기판(Substrate)을 금속재로 구성하여 기판에 대한 윈도우프레임의 접합이 금속과 금속간의 직접 용접방식(Welding)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패키지조립공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제조원가를 크게 낮출 수 있도록 하며, 히트싱크(Heat Sink) 없이도 외부로의 빠른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하여 열화(劣化)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수명의 연장과 고휘도의 특성을 꾸준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소정 깊이의 미세거울표시소자 장착홈이 형성된 소정 크기의 기판과; 상기 기판상의 미세거울표시소자 장착홈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형성되는 금속재의 돌출턱과; 상기 기판상의 미세거울표시소자 장착홈 중심부에 장착되는 미세거울표시소자 칩과; 상기 미세거울표시소자의 장착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기판의 둘레를 따라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미세거울표시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핀과; 상기 미세거울표시소자 장착홈의 수직 상방으로부터 덮여진 상태에서 금속재의 윈도우프레임의 가장자리 저면이 돌출턱의 상면에 웰딩접합되는 광학 윈도우를 포함한다. DMD, 기판, 돌출턱, 광학윈도우, 윈도우...(이하생략)

  • NaX 제올라이트를 코팅한 세라믹 페이퍼의 제조방법
    원문  초록

    NaX 제올라이트를 코팅한 세라믹 페이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NaX 제올라이트를 코팅한 세라믹 페이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는 1차로 세라믹 페이퍼를 NaX 제올라이트 슬러리에 함침시켜 NaX 제올라이트 결정(2~3㎛)의 침적을 통한 시드층(seed layer)을 형성시키고, 2차로 수열합성을 이용하여 상기 형성된 시드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거치는 NaX 제올라이트를 코팅한 세라믹 페이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NaX 제올라이트, 수열합성, 시드(seed), 세라믹 페이퍼, 결정성장

    • 출원번호1020050061827
    • 출원일자20050708
    • 등록번호1010048260000
    • 등록일자20101222
    • 출원인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발명자김익진, 백태윤
    초록

    본 발명은 NaX 제올라이트를 코팅한 세라믹 페이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는 1차로 세라믹 페이퍼를 NaX 제올라이트 슬러리에 함침시켜 NaX 제올라이트 결정(2~3㎛)의 침적을 통한 시드층(seed layer)을 형성시키고, 2차로 수열합성을 이용하여 상기 형성된 시드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거치는 NaX 제올라이트를 코팅한 세라믹 페이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NaX 제올라이트, 수열합성, 시드(seed), 세라믹 페이퍼, 결정성장

  • 엘에스엑스형 제올라이트 미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와같이 제조된 엘에스엑스형 제올라이트 미세입자의 세제용빌더로서의 용도
    원문  초록

    엘에스엑스형 제올라이트 미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와같이 제조된 엘에스엑스형 제올라이트 미세입자의 세제용빌더로서의 용도

    본 발명은 세공입구가 A형 제올라이트 보다 커서 세제용 빌더로서 유용한 LSX형 제올라이트 미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FAU 구조를 갖고 Si/Al 비가 1.1 이하이고 결정입자의 크기가 약 2㎛ 이하이면서 양이온 중에 Na 이온이 70 내지 100몰%이고, K 이온이 0 내지 30몰%로 구성된 LSX형 제올라이트 미세입자를 세제용 빌더로서 함유하는 세척 성능이 뛰어난 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제올라이트, 세제용 빌더, 미세입자

    • 출원번호1020050061443
    • 출원일자20050708
    • 등록번호1007247650000
    • 등록일자20070528
    • 출원인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발명자김진배, 전경준, 한운구
    초록

    본 발명은 세공입구가 A형 제올라이트 보다 커서 세제용 빌더로서 유용한 LSX형 제올라이트 미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FAU 구조를 갖고 Si/Al 비가 1.1 이하이고 결정입자의 크기가 약 2㎛ 이하이면서 양이온 중에 Na 이온이 70 내지 100몰%이고, K 이온이 0 내지 30몰%로 구성된 LSX형 제올라이트 미세입자를 세제용 빌더로서 함유하는 세척 성능이 뛰어난 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제올라이트, 세제용 빌더, 미세입자

  • 피엘시 기기와 에이치엠아이 장비간의 공유메모리를 이용한데이터 메모리 동기화 방법
    원문  초록

    피엘시 기기와 에이치엠아이 장비간의 공유메모리를 이용한데이터 메모리 동기화 방법

    본 발명은 PLC기기의 데이터 저장 영역의 데이터를 공유 메모리를 통해 HMI장비와 동기화시켜 데이터 처리속도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PLC기기와 HMI장비간의 공유메모리를 이용한 데이터 메모리 동기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PLC기기와 HMI장비간의 공유메모리를 이용한 데이터 메모리 동기화 방법은 상기 PLC기기의 종류에 따라 공유메모리를 생성하고, 상기 PLC기기와 상기 HMI장비간의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HMI장비의 객체가 지정하는 PLC기기의 주소에서 데이터를 읽은 후 공유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객체 접근 요청이 있을 경우, 공유 메모리의 포인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읽은 주소에 대응하는 해당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LC기기, HMI장비, 공유메모리, 데이터동기화

    • 출원번호1020050060850
    • 출원일자20050706
    • 등록번호1007159150000
    • 등록일자20070502
    • 출원인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발명자한광록, 선복근
    초록

    본 발명은 PLC기기의 데이터 저장 영역의 데이터를 공유 메모리를 통해 HMI장비와 동기화시켜 데이터 처리속도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PLC기기와 HMI장비간의 공유메모리를 이용한 데이터 메모리 동기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PLC기기와 HMI장비간의 공유메모리를 이용한 데이터 메모리 동기화 방법은 상기 PLC기기의 종류에 따라 공유메모리를 생성하고, 상기 PLC기기와 상기 HMI장비간의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HMI장비의 객체가 지정하는 PLC기기의 주소에서 데이터를 읽은 후 공유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객체 접근 요청이 있을 경우, 공유 메모리의 포인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읽은 주소에 대응하는 해당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LC기기, HMI장비, 공유메모리, 데이터동기화

  • 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원문  초록

    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온고압 반응기에서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촉매없이 단시간에 반응을 수행하여 부가반응없이 순수한 중합체나 공중합체의 제조가 가능한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을 그 목적으로 하며, 구체적으로는 고온고압 반응기에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메타)아크릴레이트,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및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크릴산 단량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이거나,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비닐방향족 단량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와의 혼합단량체, 용매 및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 하에서 200 내지 240℃에서 0.5 내지 1.5시간 동안 가온반응시키는 단계; 냉각 단계; 및 알칼리 수용액을 적가하여 개시제 침전물을 생성한 다음 여과하여 아크릴계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수득하는 단계를 거치며, 이와같이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LCD용 광학필름 분야에서 광학특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고분자 화합물로서 유용하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고온고압반응기, 공중합체, 단량체, 분자량

    • 출원번호1020050058360
    • 출원일자20050630
    • 등록번호1006047690000
    • 등록일자20060719
    • 출원인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발명자백대진, 엄성일, 이준균, 정하식
    초록

    본 발명은 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온고압 반응기에서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촉매없이 단시간에 반응을 수행하여 부가반응없이 순수한 중합체나 공중합체의 제조가 가능한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을 그 목적으로 하며, 구체적으로는 고온고압 반응기에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메타)아크릴레이트,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및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크릴산 단량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이거나,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비닐방향족 단량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와의 혼합단량체, 용매 및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 하에서 200 내지 240℃에서 0.5 내지 1.5시간 동안 가온반응시키는 단계; 냉각 단계; 및 알칼리 수용액을 적가하여 개시제 침전물을 생성한 다음 여과하여 아크릴계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수득하는 단계를 거치며, 이와같이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LCD용 광학필름 분야에서 광학특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고분자 화합물로서 유용하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고온고압반응기, 공중합체, 단량체, 분자량

  • 선형유도전동기를 이용한 용융금속 이송장치
    원문  초록

    선형유도전동기를 이용한 용융금속 이송장치

    본 발명은 선형유도전동기를 이용한 용융금속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추구하는 목적은 용해로에서 배출되는 용융금속이 이송경로 상에서 일정하게 온도를 일정하도록 함으로써, 이송경로에 용융금속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이송경로인 덕트와 LIM((linear-induction motor);선형유도전동기)의 고정자 코일 간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송되는 용융금속의 열로부터 고정자 코일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된 선형유도전동기를 이용한 용융금속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투입된 금속을 소정의 온도에서 용융시키는 용해로와; 일측 단부는 전술한 용해로의 배출구와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토출구가 구비되어, 용해로로부터 배출되는 용융금속의 이송경로를 제공하는 덕트와; 전술한 덕트의 외부에 구비되어, 고정자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자기장을 형성하여 자력에 의해 용융금속을 토출구로 이송 배출시키는 선형유도전동기로 구성된 선형유도전동기를 이용한 용융금속 이송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용해로의 배출구와 덕트의 일측을 연결하되, 발열을 통해 이송되는 용융금속의 온도를 유지하는 덕트연결수단과; 전술한 덕트의 외부를 감싸되, 덕트의 일측 면을 타측면보다 얇게 감싸서 단열시키되, 발열하여 덕트 내부가 소정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단열/보온수단과; 일측은 전술한 용해로를 보호...(이하생략)

    • 출원번호1020050042506
    • 출원일자20050520
    • 등록번호1006652310000
    • 등록일자20061228
    • 출원인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발명자김창업
    초록

    본 발명은 선형유도전동기를 이용한 용융금속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추구하는 목적은 용해로에서 배출되는 용융금속이 이송경로 상에서 일정하게 온도를 일정하도록 함으로써, 이송경로에 용융금속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이송경로인 덕트와 LIM((linear-induction motor);선형유도전동기)의 고정자 코일 간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송되는 용융금속의 열로부터 고정자 코일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된 선형유도전동기를 이용한 용융금속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투입된 금속을 소정의 온도에서 용융시키는 용해로와; 일측 단부는 전술한 용해로의 배출구와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토출구가 구비되어, 용해로로부터 배출되는 용융금속의 이송경로를 제공하는 덕트와; 전술한 덕트의 외부에 구비되어, 고정자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자기장을 형성하여 자력에 의해 용융금속을 토출구로 이송 배출시키는 선형유도전동기로 구성된 선형유도전동기를 이용한 용융금속 이송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용해로의 배출구와 덕트의 일측을 연결하되, 발열을 통해 이송되는 용융금속의 온도를 유지하는 덕트연결수단과; 전술한 덕트의 외부를 감싸되, 덕트의 일측 면을 타측면보다 얇게 감싸서 단열시키되, 발열하여 덕트 내부가 소정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단열/보온수단과; 일측은 전술한 용해로를 보호...(이하생략)

  • 장중파장 자외선용 청색 형광체 및 그의 제조 방법
    원문  초록

    장중파장 자외선용 청색 형광체 및 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α-크리스토발라이트(α-cristobalite)상 또는 정장석(orthoclase)상을 주상으로 하는 청색 형광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Na 2 O·K 2 O·Al 2 O 3 ·SiO 2 를 모체로 하는 조성물에 유로퓸(Eu) 또는 세륨(Ce)을 활성제로 첨가하고, 세륨(Ce), 디스프로슘(Dy), 사마륨(Sm), 루테늄(Lu), 툴륨(Tm), Pr, Nb, Tb 및 Er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된 원소를 부활성제로 첨가시키거나 Ba,Ca,Sr,Mg,Li,Ge,B,Fe,Cu,Mn 및 Cr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된 원소를 모체에 첨가시킨 장중파장 자외선용 청색 형광체이고, 상기 Na 2 O·K 2 O·Al 2 O 3 SiO 2 을 모체로 하는 화합물은 알칼리 또는 알칼리 및 칼리를 함유한 천연 알칼리 장석 분말을 이용하거나 질산염, 초산염, 염화물, 산화물 및 탄산염으로 이루어지 군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된 혼합물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중파장 자외선용 청색 형광체의 제조방법이다. 청색 형광제, 자외선, 발광소자

    • 출원번호1020050028678
    • 출원일자20050406
    • 등록번호1007930820000
    • 등록일자20080103
    • 출원인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발명자김정석, 박기철, 최진호, 천채일
    초록

    본 발명은 α-크리스토발라이트(α-cristobalite)상 또는 정장석(orthoclase)상을 주상으로 하는 청색 형광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Na 2 O·K 2 O·Al 2 O 3 ·SiO 2 를 모체로 하는 조성물에 유로퓸(Eu) 또는 세륨(Ce)을 활성제로 첨가하고, 세륨(Ce), 디스프로슘(Dy), 사마륨(Sm), 루테늄(Lu), 툴륨(Tm), Pr, Nb, Tb 및 Er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된 원소를 부활성제로 첨가시키거나 Ba,Ca,Sr,Mg,Li,Ge,B,Fe,Cu,Mn 및 Cr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된 원소를 모체에 첨가시킨 장중파장 자외선용 청색 형광체이고, 상기 Na 2 O·K 2 O·Al 2 O 3 SiO 2 을 모체로 하는 화합물은 알칼리 또는 알칼리 및 칼리를 함유한 천연 알칼리 장석 분말을 이용하거나 질산염, 초산염, 염화물, 산화물 및 탄산염으로 이루어지 군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된 혼합물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중파장 자외선용 청색 형광체의 제조방법이다. 청색 형광제, 자외선, 발광소자

  • 반도체 소자의 설계 검증을 위한 고속 병렬 시뮬레이션 방법
    원문  초록

    반도체 소자의 설계 검증을 위한 고속 병렬 시뮬레이션 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회로 설계의 고속 검증을 위한 기술로 종래의 소프트웨어적 검증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하드웨어 가속기(Hardware Accelerator)와 이의 최적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구현함으로써 실제 결과 값에 근사한 예측치를 빠른 시간 내에 계산되도록 하여 설계에 즉시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반도체 소자의 설계 고속 병렬 검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 설계 검증, 고속 병렬 검증 방법, 하드웨어 가속 장치.

    • 출원번호1020040117803
    • 출원일자20041231
    • 등록번호1005945930000
    • 등록일자20060621
    • 출원인한국전자통신연구원|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발명자이윤식, 김우성
    초록

    본 발명은 반도체 회로 설계의 고속 검증을 위한 기술로 종래의 소프트웨어적 검증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하드웨어 가속기(Hardware Accelerator)와 이의 최적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구현함으로써 실제 결과 값에 근사한 예측치를 빠른 시간 내에 계산되도록 하여 설계에 즉시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반도체 소자의 설계 고속 병렬 검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 설계 검증, 고속 병렬 검증 방법, 하드웨어 가속 장치.

  • 반도체 소자의 전압 강하 및 동적 소모전력 분석방법
    원문  초록

    반도체 소자의 전압 강하 및 동적 소모전력 분석방법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회로의 전압 강하 및 전력 소모 값의 분석방법은 정적 및 동적 분석 방법에 있어서 지연 계산기, 전력 소모 계산기, RC 축소기, 전류 추출기 및 피크값 추출기 등의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실제 전압 강하 값과 소모 전력 값에 근사한 예측치를 빠른 시간 내에 계산되도록 함으로써 SoC와 같은 대형 반도체 설계도면의 검증에서 전압강하 및 전력 소모 현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설계 오류를 제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반도체 소자, 전압 강하, 전력 소모, 지연 계산기, 전력 소모 계산기, 피크값 추출기, RC 축소기.

    • 출원번호1020040099230
    • 출원일자20041130
    • 등록번호1006110930000
    • 등록일자20060803
    • 출원인한국전자통신연구원|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발명자이윤식, 김우성
    초록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회로의 전압 강하 및 전력 소모 값의 분석방법은 정적 및 동적 분석 방법에 있어서 지연 계산기, 전력 소모 계산기, RC 축소기, 전류 추출기 및 피크값 추출기 등의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실제 전압 강하 값과 소모 전력 값에 근사한 예측치를 빠른 시간 내에 계산되도록 함으로써 SoC와 같은 대형 반도체 설계도면의 검증에서 전압강하 및 전력 소모 현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설계 오류를 제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반도체 소자, 전압 강하, 전력 소모, 지연 계산기, 전력 소모 계산기, 피크값 추출기, RC 축소기.

  • 움직임 객체를 추출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원문  초록

    움직임 객체를 추출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본 발명은 움직임 객체를 추출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기 움직임 객체에서부터 마지막 완전한 움직임 객체를 추출하기까지의 과정을 하나의 발전 과정으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객체 추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객체의 경계가 더욱 분명하고, 다중 객체의 경우에도 그 경계가 분명하며, 내부에 구멍이 존재하는 객체의 경우에 있어 구멍과 객체를 명확히 분할하고, 또한 알고리즘들을 최적화하여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움직임 객체 추출 방법 및 그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객체 추출 방법은 현재 프레임에 대한 캐니 에지(Canny edge)와 배경(background) 변환 검출에 의해 초기화된 초기 움직임 객체의 에지를 이용하여 움직임 객체 에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 객체 에지에 기초하여 움직임 객체 외곽선(boundary)을 생성하는 단계, 소정의 외곽선 연결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움직임 객체 외곽선에서 나타나는 단락된 부분을 연결하여 제1 움직임 객체 마스크를 생성하는 단계, 연결 요소(connected component) 방법과 형태 연산(morphological operation)을 통해 상기 초기 움직임 객체의 에지에서 잡영을 제거하여 제2 움직임 객체 마스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하생략)

    • 출원번호1020040085040
    • 출원일자20041022
    • 등록번호1006042230000
    • 등록일자20060718
    • 출원인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발명자이호석
    초록

    본 발명은 움직임 객체를 추출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기 움직임 객체에서부터 마지막 완전한 움직임 객체를 추출하기까지의 과정을 하나의 발전 과정으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객체 추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객체의 경계가 더욱 분명하고, 다중 객체의 경우에도 그 경계가 분명하며, 내부에 구멍이 존재하는 객체의 경우에 있어 구멍과 객체를 명확히 분할하고, 또한 알고리즘들을 최적화하여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움직임 객체 추출 방법 및 그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객체 추출 방법은 현재 프레임에 대한 캐니 에지(Canny edge)와 배경(background) 변환 검출에 의해 초기화된 초기 움직임 객체의 에지를 이용하여 움직임 객체 에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 객체 에지에 기초하여 움직임 객체 외곽선(boundary)을 생성하는 단계, 소정의 외곽선 연결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움직임 객체 외곽선에서 나타나는 단락된 부분을 연결하여 제1 움직임 객체 마스크를 생성하는 단계, 연결 요소(connected component) 방법과 형태 연산(morphological operation)을 통해 상기 초기 움직임 객체의 에지에서 잡영을 제거하여 제2 움직임 객체 마스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하생략)

  • 포토 레지스트 분사노즐 장치
    원문  초록

    포토 레지스트 분사노즐 장치

    본 발명은 포토 레지스트 분사노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분사노즐 장치는 액정디스플레이 기판의 상부에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몸체를 구비하고, 몸체에는, 포토 레지스트를 도입하기 위한 중앙의 도입구와, 도입구로 도입된 포토 레지스트가 일차적으로 충전되면서 몸체의 폭방향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충전실 및, 폭방향으로 확산된 포토 레지스트가 제 1충전실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몸체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배출통로와, 배출통로로부터 배출된 포토 레지스트가 이차적으로 충전될 수 있도록 몸체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2충전실과, 제 2충전실에 충전된 포토 레지스트가 기판의 표면에 분사될 수 있도록 제 2충전실로부터 몸체의 폭방향을 따라 수직 하방으로 뻗어 있는 분사통로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항상 균일한 유속, 유량, 유압의 포토 레지스트를 분사하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포토 레지스트의 분사초기와 분사후기에 관계없이 상기 포토 레지스트를 항상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분사노즐 장치의 운동 개시 시점과, 운동 정지 시점에서도 기판의 표면에 포토 레지스트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다.

    • 출원번호1020040074447
    • 출원일자20040917
    • 등록번호1005884110000
    • 등록일자20060602
    • 출원인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발명자정진도, 김장우
    초록

    본 발명은 포토 레지스트 분사노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분사노즐 장치는 액정디스플레이 기판의 상부에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몸체를 구비하고, 몸체에는, 포토 레지스트를 도입하기 위한 중앙의 도입구와, 도입구로 도입된 포토 레지스트가 일차적으로 충전되면서 몸체의 폭방향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충전실 및, 폭방향으로 확산된 포토 레지스트가 제 1충전실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몸체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배출통로와, 배출통로로부터 배출된 포토 레지스트가 이차적으로 충전될 수 있도록 몸체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2충전실과, 제 2충전실에 충전된 포토 레지스트가 기판의 표면에 분사될 수 있도록 제 2충전실로부터 몸체의 폭방향을 따라 수직 하방으로 뻗어 있는 분사통로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항상 균일한 유속, 유량, 유압의 포토 레지스트를 분사하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포토 레지스트의 분사초기와 분사후기에 관계없이 상기 포토 레지스트를 항상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분사노즐 장치의 운동 개시 시점과, 운동 정지 시점에서도 기판의 표면에 포토 레지스트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다.

  • 포토 레지스트 분사노즐 장치
    원문  초록

    포토 레지스트 분사노즐 장치

    본 발명은 포토 레지스트 분사노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분사노즐 장치는 액정디스플레이 기판의 상부에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몸체를 구비하되, 몸체는 포토 레지스트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와, 도입된 포토 레지스트를 상기 기판의 폭방향을 따라 확산시키는 확산실과, 확산된 포토 레지스트를 상기 기판의 표면에 분사하는 분사통로를 구비하는 포토 레지스트 분사노즐 장치에 있어서, 도입구는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확산실은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되, 도입구를 중심으로 몸체의 폭방향 양쪽을 향해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단면적을 가지며; 분사통로는 폭방향의 양쪽 측벽면이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몸체의 외측을 향해 테이퍼져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항상 균일한 유속, 유량, 유압의 포토 레지스트를 분사하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포토 레지스트의 분사초기와 분사후기에 관계없이 포토 레지스트를 항상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분사노즐 장치의 운동 개시 시점과, 운동 정지 시점에서도 기판의 표면에 포토 레지스트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분사통로로부터 분사된 포토 레지스트가 분사통로의 양쪽 끝부분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분사통로로부터 분사된 포토 레지스트가 항상 균일한 유속과 유압과 유량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 출원번호1020040074446
    • 출원일자20040917
    • 등록번호1005884100000
    • 등록일자20060602
    • 출원인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발명자정진도, 김장우
    초록

    본 발명은 포토 레지스트 분사노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분사노즐 장치는 액정디스플레이 기판의 상부에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몸체를 구비하되, 몸체는 포토 레지스트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와, 도입된 포토 레지스트를 상기 기판의 폭방향을 따라 확산시키는 확산실과, 확산된 포토 레지스트를 상기 기판의 표면에 분사하는 분사통로를 구비하는 포토 레지스트 분사노즐 장치에 있어서, 도입구는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확산실은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되, 도입구를 중심으로 몸체의 폭방향 양쪽을 향해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단면적을 가지며; 분사통로는 폭방향의 양쪽 측벽면이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몸체의 외측을 향해 테이퍼져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항상 균일한 유속, 유량, 유압의 포토 레지스트를 분사하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포토 레지스트의 분사초기와 분사후기에 관계없이 포토 레지스트를 항상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분사노즐 장치의 운동 개시 시점과, 운동 정지 시점에서도 기판의 표면에 포토 레지스트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분사통로로부터 분사된 포토 레지스트가 분사통로의 양쪽 끝부분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분사통로로부터 분사된 포토 레지스트가 항상 균일한 유속과 유압과 유량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 폐기물을 이용한 전자파 차폐 및 난연 복합 기능성 성형체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원문  초록

    폐기물을 이용한 전자파 차폐 및 난연 복합 기능성 성형체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유·무기 폐기물을 이용하여 전자파 차폐특성과 난연성을 모두 갖는 복합기능성 성형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성형체 조성물은 폐플라스틱 32.5 내지 40 중량%, 200메쉬 이하의 입도를 가지면서 1,000 내지 4500가우스의 마그네틱 세퍼레이터를 통해 분리된 함철성분의 전기로 제강 슬래그 10 내지 15 중량%, 무기계 난연제 12.5 내지 17.5 중량%, 아스펙트 비 10 내지 100으로 플레이크 가공된 폐구리 전선 10내지 20%, 분말 형태의 금속 및 카본, 흑연이 주성분인 폐카본브러쉬 5 내지 15 중량%, 실란계 커플링에이전트로 표면처리된 2 내지 5mm의 유리섬유 5 내지 7.5 중량% 를 포함하고,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원료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150 내지 290℃로 유지된 압출기를 통해 용융 압출하여 펠렛을 가공하고 가공된 펠렛을 200 내지 300℃의 금형 내에 장입하고 열압착 성형하거나 혼합된 원료를 압출공정을 생략하고 바로 210 내지 305℃의 금형 내에 장입하여 열압착 성형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전자파 차폐 및 난연 복합 기능성 성형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요지로 한다. 전자파차폐, 난연, 폐플라스틱, 복합성형체

    • 출원번호1020030018989
    • 출원일자20030326
    • 등록번호1008727390000
    • 등록일자20081202
    • 출원인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발명자강영구, 서상기, 유재근
    초록

    본 발명은 유·무기 폐기물을 이용하여 전자파 차폐특성과 난연성을 모두 갖는 복합기능성 성형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성형체 조성물은 폐플라스틱 32.5 내지 40 중량%, 200메쉬 이하의 입도를 가지면서 1,000 내지 4500가우스의 마그네틱 세퍼레이터를 통해 분리된 함철성분의 전기로 제강 슬래그 10 내지 15 중량%, 무기계 난연제 12.5 내지 17.5 중량%, 아스펙트 비 10 내지 100으로 플레이크 가공된 폐구리 전선 10내지 20%, 분말 형태의 금속 및 카본, 흑연이 주성분인 폐카본브러쉬 5 내지 15 중량%, 실란계 커플링에이전트로 표면처리된 2 내지 5mm의 유리섬유 5 내지 7.5 중량% 를 포함하고,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원료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150 내지 290℃로 유지된 압출기를 통해 용융 압출하여 펠렛을 가공하고 가공된 펠렛을 200 내지 300℃의 금형 내에 장입하고 열압착 성형하거나 혼합된 원료를 압출공정을 생략하고 바로 210 내지 305℃의 금형 내에 장입하여 열압착 성형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전자파 차폐 및 난연 복합 기능성 성형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요지로 한다. 전자파차폐, 난연, 폐플라스틱, 복합성형체